4대강 기록관

기록은 역사를 바로 세운다

  • 4대강이 뭐예요?
    • 4대강 추진과정
    • 4대강 추진 주역들
    • 4대강-연계사업
  • 낙동강 9년의 기록
    • 태백, 안동
    • 상주,낙동권
    • 남지,밀양권역
    • 구미,칠곡권역
    • 대구,성주권역
    • 달성,합천권역
    • 양산,부산권역
    • 낙동강 댐과 지류의 변화
    • 문화와 생태계의 변화
  • 기록으로 저항하다
    • 물길을 걷다
    • 기록관을 세우다
    • 4대강 다큐멘터리
    • 기록은 힘이 세다
  • 법 앞에서
    • 영주댐 철거소송
    • 환경법 관련자료
    • 천성산 새만금 을숙도 판결, 그 후 10년을 돌아보다
  • Greenswell
    • 이야기 나눔방
    • 갤러리 게시판
    • 삼성이 가는 길
  • 4대강이 뭐예요?
    • 4대강 추진과정
    • 4대강 추진 주역들
    • 4대강-연계사업
  • 낙동강 9년의 기록
    • 태백, 안동
    • 상주,낙동권
    • 남지,밀양권역
    • 구미,칠곡권역
    • 대구,성주권역
    • 달성,합천권역
    • 양산,부산권역
    • 낙동강 댐과 지류의 변화
    • 문화와 생태계의 변화
  • 기록으로 저항하다
    • 물길을 걷다
    • 기록관을 세우다
    • 4대강 다큐멘터리
    • 기록은 힘이 세다
  • 법 앞에서
    • 영주댐 철거소송
    • 환경법 관련자료
    • 천성산 새만금 을숙도 판결, 그 후 10년을 돌아보다
  • Greenswell
    • 이야기 나눔방
    • 갤러리 게시판
    • 삼성이 가는 길

남지,밀양권역

  • 장아지 마을
    박진교 하류의 넓은 둔치를 안고 도는  한신마을   개비리길이 끝나는 곳에서 시작되는 아지마을 강변
    chorok
    Vote 1
  • 개비리길
    영아지마을의 황씨할배네 어미개가 용산마을로 간 새끼에게 전을 주러 하루 한번 다녔다고 하는 전설이 있는 남지 개비리길,  가파른 벼량길에 자전거를 끌고 들어 갔다가 고생한 기억이 있다.   강도 변하고 길도 변했는데
    chorok
  • 남강 합수부 용산마을
    남강 합수부 2009-2017 용산마을의 너른 둔치
    chorok
  • 남지
    남지철교가 있는 남지 강변  
    chorok
  • 우강 마을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망우당 곽재우 유허비가 세워져 있느 우강리 강변은 낙동강의 절경지로 계성천과 영산천이 합수하는 지점이다. 흰사장과 넓은 둔치는 홍수때 강이 범럼했던 곳이다. 준설토를 덮지 않은 우강의 둔치는 준설토를 덮고 조성했던 생태공원과 비교해 보는 것도 필요한 일이다. 망우당 2009 4월 계성천 계성천 영산천
    chorok
  • 칠서
    우강리 건너편의 칠서 강변 낙동대교 위에서 이 광경을 바라보며 목이 쉬었다.
    chorok
  • 함안보
    대운하 논쟁이 한창이던 2007년,  몇몇 지인들과 찰야을 빌려 두차례에 걸쳐 운하구간을 돌았다. 누군가 인터넷에 올려놓은  흰모래사장 이야기를 듣고 가장 와보고 싶었던 곳이 남지였고, 길곡이었다.  
    chorok
  • 임해 마천
      길곡은  임해까지 역류한 남해 바닷물과  상류에서 내려오는 낙동강물을 받아   3년만 범람하지 않으면 부자가 된다고 하는 기름진 땅이었다. 보만개라고 불리는 고운 입자의 흙속에는 쥐와 두더지, 지렁이, 뱀  파충류등이 사는 터전이다.
    chorok
    Vote 2
  • 임해진 개비리길
    낙동강에는 3곳에  개비리 길이 있다. 현풍 다림재 개비리길, 남지 개비리길, 임해의 개비리길이 그것이다.  전설은 모두 개가 길을 냈다고 하는 이야기이지만 내용은 조금씩 다르다.   차량이 통과하는 임해 개비리길은  군인과 마을 사람들이 힘을 합쳐 길을 냈다고 한다. 낙조가 아름다운 곳으로 유명하지만 모래톱이 사라지고 녹조 창연한 지금.... 임해에서 바라 본 개비리길 2009년 4월/ 2010년 10월  
    chorok
    Vote 1
  • 본포
    낙동강에서 마지막 주막이 있었던 본포교 상류
    chorok
    Vote 1
  • 수산
    11
    chorok
    Vote 1
  • 하남
    11
    chorok
  • 1
Powered by KBoard
  • 낙동강 9년의 기록
    • 태백, 안동
    • 상주,낙동권
    • 구미,칠곡권역
    • 대구,성주권역
    • 달성,합천권역
    • 남지,밀양권역
    • 양산,부산권역
  • 문화와 생태계의 변화
  • 낙동강 댐과 지류의 변화

낙동강 9년의 기록










새글보기

  • 기록관 정리작업
  • 취소소송과 원고적격, 법률상 이익
  • 원고적격에 대하여
  • 새만금, 천성산, 을숙도 소송을 통해 본 환경소송의 의미와 전망
  • – 환경영향평가법
  • 자연환경보전법
  • 4대강 대법원 핀결문(첨부파일)
  • 천성산 대법원 판결문
  • 을숙도 명지대교 대법원 판결문
  • 새만금 대법원 판결문

연습

© 2025 4대강 기록관 - WordPress Theme by Kadence Themes